엄익란 연구원, 중앙일보 인터뷰(4월26일자)

최고관리자 0 1635

무슬림 할랄 식품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 대명사로 뜬다

 

 

htm_201404271634730103011_59_20140428111020.jpg

 

무슬림 여성이 이태원의 한 슈퍼마켓에서 제품 뒷면에 표기 된 식품 성분을 읽고있다. [사진 펜타글로벌]

미국 뉴욕의 길거리에서 뉴요커와 관광객의 발길을 사로잡은 음식이 있다. ‘할랄 가이즈’가 운영하는 푸드 트럭이다. 길거리 음식이지만 수많은 이가 안심하고 선택하는 이유는 바로 ‘할랄(Halal)’ 식재료 덕분.

‘신이 허락한 좋은 것’이란 뜻의 할랄은 본래 무슬림(이슬람 신자)의 음식문화다. 그런데 이런 할랄 식품이 안전하고 건강한 식품을 상징하는 키워드로 급부상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연간 20%씩 성장세다.

2010년 할랄 식품 시장은 6615억 달러(약 687조원) 규모로 전체 식품시장의 17%를 차지했다.

단국대 걸프만협력개발기구(GCC)연구소 엄익란 연구원은 “품질이 우수하고 소비자가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만이 할랄 인증을 통과한다”며 “건강한 식탁을 추구하는 비무슬림 사이에서 할랄이 주목받는 이유”라고 말했다.

이민영 기자

죽은 고기·해충 금지해 안전하고 깨끗

할랄 식품이 되려면 3무(無)를 충족해야 한다. 독이 없고, 정신을 혼미하게 하지 않아야 하며, 위험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기준으로 먹어도 되는 것(Halal)과 되지 않는 것(하람, Haram)을 구분한다.

육류는 엄격한 도축 과정을 지켜야 한다. 동물의 동맥·정맥을 한 번에 정확히 끊고 피를 완전히 빼는 과정을 거친다. 엄익란 교수는 “피는 ‘금지된 것’에 속한다. 미생물이 번식하는 매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라고 보는 것도 한 가지 이유”라고 말했다. 도축 직전의 소·양·닭은 건강하게 살아 있어야 한다. 도축 전에 썩었거나 병들어 죽은 고기는 먹어서는 안 된다.

 할랄 식품이 안전한 것으로 여겨지는 또 다른 이유는 청결한 생산설비에 있다. 할랄인증 컨설팅업체인 펜타글로벌 조영찬 대표는 “식재료의 가공·포장·운반·보관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위생을 엄격하게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할랄 식품에는 비할랄 식품이 조금이라도 들어가서는 안 된다. 식재료가 비할랄 제품과 접촉하는 것만으로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독이 있거나 해가 되는 곤충(이·파리·구더기)과 해충(쥐·지네·전갈), 동물의 배설물·피·타액같이 이슬람법에서 불결하게 여기는 것들이 없는 위생적인 환경이어야 한다. 이슬람중앙회 한국이슬람인증마크(KMF) 박창모 위원장은 “중금속·수질·방사능 오염 검사 등 인체에 유해한지 여부를 가리는 안전검사를 철저히 한다”고 말했다.

2.jpg

9~12일에 열린 2014 말레이시아 할랄박람회(MIHS), 전경. [사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생명 존중·공정무역으로 착한 소비 지향

식품에 사용하는 모든 원료는 할랄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 때문에 할랄 식품에는 모든 식품 성분을 명확히 표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케이크·의약품 캡슐 등에 사용하는 식품첨가제인 젤라틴은 돼지가죽·소가죽·뼈 같은 동물성 원료로 만들었다. 이때 이슬람적으로 도축하지 않은 소의 가죽·뼈라면 할랄식품으로 인증받지 못한다. 엄 교수는 “할랄 인증은 식품위생관리시스템인 HACCP와 의약품제조시스템인 GMP 기준을 상회한다”고 말했다.

 할랄 식품은 착한 소비로도 통한다. 할랄 인증을 받으려면 품질의 우수성과 안전성뿐 아니라 동물 보호와 공정무역에 부합해야 한다.

엄 교수는 “도축할 때 단칼에 동맥을 끊으면 산소·피가 급속히 멈춘다”며 “인간을 위해 희생되는 동물이 고통을 덜 느끼고, 빠른 시간 내에 눈을 감을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할랄 식품의 육류는 교살되거나 때려잡아서는 안 된다.

커피·초콜릿 등은 공정무역으로 유통된 것인지가 할랄 인증을 받는 하나의 기준이다. 공정무역은 생산자의 정당한 노동력에 구매자가 적정한 가격을 지불하는 것이다. 경제적으로 소외되고 불리한 위치에 있는 생산자·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한다.

3.jpg

 

의약품·화장품 분야로도 확대

할랄 인증 기관은 전 세계적으로 200여 개가 넘는다. 말레이시아의 자킴과 브루나이의 브루나이할랄, 미국의 이판카, 독일의 할랄콘트롤 등이 대표적이다. 다국적 식품기업은 할랄 인증 제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스위스 네슬레는 전 세계 85개 공장 154개 제품이 할랄 인증을 받았다. 판매율은 연간 50%씩 성장세다. 할랄 식품 수출 국가 1위인 태국은 2011년 4억3000만 달러의 할랄 식품 수출을 기록했는데 전년 대비 30% 증가한 것이다.

국내 식품회사도 할랄 식품 시장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추세다. 풀무원은 지난 해 7월 튀기지않은 라면 2종에 할랄 인증을 받았다. 말레이시아에 수출하고 있는 이 제품은 할랄 인증을 받기 전 보다 판매량이 30배 가까이 뛰었다. 풀무원 해외시장개척팀 김태한 팀장은 “동남아시아·아프리카·유럽에서 할랄 시장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성장잠재력도 크다”며 “다른 제품에도 할랄 인증을 확대해 글로벌 수출 전략을 세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리온제과의 초코파이와 CJ제일제당의 햇반·김치가 할랄 인증을 받고 수출중이며 고려홍삼원·남양유업 등도 할랄 인증 제품을 늘려 나가고 있다. 조영찬 대표는 “우리나라는 국내 기업이 할랄 인증마크를 사용해 유통하는 건 법으로 허용되지 않고, 할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 낮다”며 “반면에 수출할 때 제품의 중요한 요건 중 하나로 할랄을 꼽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할랄은 최근 식품분야(67%)뿐 아니라 의약품(22%)과 화장품(10%)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할랄 화장품은 동물성 성분이 들어가지 않은 천연 제품으로 여겨지면서 호응을 얻는다. 엄 교수는 “10년 후 세계 인구의 약 30%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는 무슬림의 잠재 소비력은 할랄 식품의 성장을 이끄는 배경”이라고 말했다. 이어 “윤리적이고 위생적인 식품을 취급하는 할랄 시장이 안전한 것을 추구하는 비무슬림에게도 확대되면서 성장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할랄 포럼을 개최합니다

2조1000억 달러에 달하는 글로벌 할랄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제1회 할랄 포럼이 5월 21일(수) SETE(국제회의장)에서 서울 대치동 SETEC(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됩니다. 18억 명에 이르는 이슬람 인구의 소비 잠재력에 발맞춰 한국 기업과 정부의 행보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농식품 분야를 중심으로 화장품·의약품·관광 분야까지 시장이 확대됩니다. 할랄 포럼은 시장 진출을 위한 마케팅·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 인증에서부터 시장 개척까지 성공적인 결과를 끌어내기 위한 자리입니다. 포럼 후에는 실무교육 및 컨설팅, 각 산업 분야별 진출 분석 세미나, 이슬람 할랄 시장 마케팅전문가 양성 등의 프로그램을 내놓을 계획입니다. 중앙일보헬스미디어와 단국대GCC(걸프만협력개발기구) 국가연구소, 사단법인 할랄협회가 함께합니다. 문의 02-2031-1517, 1530 접수 halal.jhealthmedia.com

 

출처 : 중앙일보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5&aid=0002331472 

0 Comments